
GS건설이 또다시 근로자 사망사고를 냈다. 3일 서울 성동구 ‘청계리버뷰자이’ 아파트 현장에서 한 노동자가 추락사하면서다. 불과 몇 달 전 부산 대심도 터널 공사에서 발생한 노동자 사망사고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이다. '또'라는 표현조차 이제는 식상하다. 문제는 사고가 아니라 사고를 당연시하는 구조와 그 책임을 외면해온 태도다.
GS건설의 사망사고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 10년간 전국 현장에서 목숨을 잃은 노동자는 20명에 달한다. 안동 환경에너지타운 붕괴, 검단 아파트 붕괴 등 사회적 충격을 안긴 사고들조차 체질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사고는 잊을 만하면 반복됐고, 사과문은 형식적으로 반복됐다.
이쯤 되면 이는 불운이 아니라 기업문화와 경영의 실패, 나아가 노동자의 생명을 비용으로 취급한 탐욕의 결과라고 불 수밖에 없다. 한때 GS건설에 붙은 '최악의 살인기업' 꼬리표가 당연했던 이유다.
문제의 심각성은 법이 이미 경고장을 내밀었다는 데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대표이사까지 형사책임을 묻겠다고 선언했지만, GS건설은 달라지지 않았다. 안전관리 체계는 종이 위에서만 존재했고 회사 임원들의 현장 방문 점검은 '쑈'에 불과했다.
외국인 노동자와 하청업체 직원들이 위험한 공정에 떠밀리는 동안 원청 경영진은 안전보다 이윤을 앞세웠다. 이번 사고 후 허윤홍 대표는 즉각 사과에 나섰지만 그 사과조차도 이제는 식상하다. 경영자에 대한 직접 처벌은 불가피한 분위기다.
비단 GS건설만의 문제는 아니다. 올해 포스코이앤씨, 현대엔지니어링 등이 시공하는 전국 건설 현장에서는 수많은 사람이 죽어나갔다.
2022~2024년 3년간 사망자는 무려 1521명이다. 올해(1~9월) 들어서는 무려 138명이다. 작년 같은 기간(113명)보다 25명이나 늘어난 수치다. 한국은 여전히 노동 후진국이다.
이제 GS건설은 선택해야 한다. 스스로 근본적 전환을 택하든, 아니면 법과 사회로부터 철저히 단죄를 받든. 더 이상 사과문 몇 줄과 ‘특별 점검’으로 모면할 수 없다. 기업의 존속 자체가 걸린 문제다. '또'라는 단어가 반복되는 현실을 끝내지 못한다면 GS건설이라는 이름 앞에는 '중대재해의 대명사'라는 불명예만 남을 것이다.
정부와 사법당국 역시 단호해야 한다. 솜방망이 처벌은 또 다른 참사를 부르는 면허증일 뿐이다. 이번만큼은 경영진 개인과 법인을 동시에 철저히 책임지게 하고 업계 전반이 체질 개선을 피할 수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제는 ‘또’가 아니라 ‘끝’이다. GS건설이 끝내지 않는다면, 사회가 끝내야 한다.
[저작권자ⓒ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