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 계정과목·금액→ '21년 PL⸱'22년 BS에 복사·공표
PL 금액 변경됐는데 같은해 BS 수치 변동 없다?⸱⸱⸱"불가능"

[편집자 註] 수원시가 100% 출자한 수원도시공사는 ‘도시·주택개발, 도시 정비, 위·수탁 개발 사업’을 목적으로 지방공기업법(제78조 및 동법시행령 제68조)에 따라 2000년 5월 설립한 지방 공기업이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매출액 690억원 중 '대행 사업'이 688억원으로 99.6%를 차지, 주력인 개발사업은 뒷전인 상황이다.
<본지>는 수원도시공사가 지방 공기업의 특성을 고려, 공익적 차원에서 공사 운영의 최종산물인 재무 현황 등을 참고해 세무와 회계 분야에서 논란이 될 부분은 없는지 점검하는 심층 탐사 보도를 결정, 지난 10일 자로 [탐사기획] 수원도시공사 회계처리 과정 의혹 '①예금 잔액 없는데 이자소득 발생?'을 보도한 바 있다.
이후 <본지>는 수원도시공사가 공개한 재무 자료에서 이전 년도 사용한 재무 내용을 이듬해에 계정과목과 금액 수치를 아예 통째로 복사해 공표한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본지>는 수원시민이 낸 세금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 또 줄줄 새고 있는 건 아닌지 현장 적발을 통해 관리·감독체계의 신뢰 문제를 짚어보고 시민들의 알 권리 차원에서 ②편을 보도한다.
[화면 1]_수원도시공사 2019-2020년 재무상태표(BS)

수원도시공사가 기공시된 회계자료 내용을 이후 회계연도에 계정과목·금액을 그대로 복사해 다시 공시한 것으로 확인돼 파장이 예상된다.
공사는 지난 2019∼20년까지 재무상태표(이하, BS)에서 [화면 1]과 같은 수치를 홈페이지에 공시했다.
자산은 2019년 858억원, 2020년 1161억원 등으로 자산·부채·자본 관련 항목과 수치(금액)를 공시했다. 자산 항목 이하 관련 계정과목과 금액에 관한 세부 내용 표시는 지면 한계상 캡처를 생략했다.
[화면 2]_수원도시공사 2021-2022년 재무상태표(BS)

그런데 위 [화면 2]에서 보듯 공사의 2021년과 2022년도의 BS상 자산과 금액, 그리고 이하 세부 계정과목·금액의 수치까지도 [화면 1]과 완벽하게 일치했다.
이뿐만 아니다. 공사는 손익계산서까지 아예 복사·조작했다.
[화면 3]_수원도시공사 2019-2020년 손익계산서(PL)

[화면 3]은 공사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지난 2019년(매출액 728억원)과 2020년(매출액 832억원)의 손익계산서 자료다.
[화면 4]_수원도시공사 2020-2021년 손익계산서(PL)

그런데 앞서 [화면 3]에 나타난 2019년과 2020년의 손익계산서 매출액 등 내용을 [화면 4]에 나타난 2020년과 2021년도 PL에 매출액과 이하 세부 계정과목·금액 수치까지도 1년씩 뒤로 미뤄진 상태로 판박이로 아예 복사해 공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해 회계 관련 전문가뿐 아니라 현장 회계실무자들도 “예를 들어 2019년도 PL 내용이 2020년에 우연의 일치로 똑같다는 가정하에 2020년의 BS 내용(자산규모 등) 등이 2019년과 다르게 나타난 것(= 2020년과 2022년이 동일)은 처음부터 회계 조작 의도없이는 불가능한 회계 범죄”라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해 <본지>는 공사와 감독관청인 수원시청을 상대로 이 같은 내용을 첨부, 서면질의하는 과정에서 공사의 홈페이지(정보공개_재무 현황)를 재차 확인하던 결과, 충격적 수준의 사실을 확인했다.
[화면 5]_수원도시공사 2020년 손익계산서(PL)

[화면 6]_수원도시공사 2023년 손익계산서(PL)

위 [화면 5]와 [화면 6]에서 보듯 <손익계산서> 내용이 화면에서 아예 사라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자본변동표·현금흐름표> 내용조차도 화면 내용이 ‘백지상태’로 나타났다.
취재진은 이에 2019년∼2023년도까지 재차 확인했으나 결과는 같았다.
이는, 공사가 공표한 재무회계자료가 언제든지 마음껏 조작가능하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지>는 공사의 설치 주체이자 예산·인사권을 보유한 수원시청, 시의회 등을 상대로 앞 위 내용의 제반 의혹이 제기되는 부분에 대해 반론을 듣고자 질의서를 보내며 접촉을 시도했으나 끝내 답변은 돌아오지 않았다. 해명 대신 회계부정을 숨기기 위해 공시자료 수정에 나선 건 아닌지 의심이 드는 대목이다.
만일 이 같은 정황과 의심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사정당국의 재제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향후 전개 과정에 이목이 쏠린다.
[저작권자ⓒ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