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결신문= 김지수⸱백도현 기자] 안산도시공사가 올해에도 자본사업 중심의 확장 예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2024년 사업 집행률 부진과 2023년 대비 차입금 급증, 이자보상배율 하락 등 재무 취약점이 중첩되면서 구조적 리스크가 가중되고 있다. 특히 택지개발 및 도시재생 핵심 사업에서 착공 지연과 집행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재정건전성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안산시청 공시자료에 따르면 안산도시공사의 2025년도 총예산은 약 5458억원이며 이 중 토지개발·주택지구 사업에 2319억원, 주택건물 임대사업에 475억원이 배정돼 자본사업이 전체 예산의 절반을 넘는다.
작년 말 기준 총차입금은 1900억원으로, 2023년 말 1473억 원 대비 427억원 증가했다. 순차입금도 2023년 765억원에서 작년 1124억 원으로 확대됐으며 부채비율은 94.2%→121.6%, 차입금의존도는 32.5%→40.7%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신규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차입부담 및 이자비용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분양대금 회수 전까지 재무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사가 추진 중인 택지개발 및 도시재생 사업이 2024년에도 계획 대비 집행과 공급 실적에서 괴리를 보였다. 2025년 예산에서는 일부 지구 사업비를 조정했지만, 착공 지연·공공성 확보 지연 등 핵심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특히 초지역세권 개발, 장상·신길지구, 도시재생 뉴딜 사업 등 주요 사업의 진행 속도와 성과 공개가 충분하지 않아 실효성 있는 공급 정책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안산시의회 도시개발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공사의 공급계획상 총 세대수는 장상지구(공공택지) 약 6500세대, 신길2지구 약 4200세대, 초지역세권 복합개발 약 2800세대 등 총 1만3000여 세대 규모다.
도시재생 분야에서는 원도심 생활SOC 복합센터 조성 및 주거환경 개선 사업(와동·고잔동 등)이 포함됐으며 총 사업비 약 286억원 중 2025년 집행 예정액은 약 98억원이다.
■ 2024년 집행 실적⸱⸱⸱착공 지연과 공급 지체
2024회계연도 결산서에 따르면 택지개발사업 집행률은 평균 58.7%, 도시재생사업 집행률은 64.3%에 그쳤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박달스마트밸리 및 장상지구 보상·착공 지연이었다. 장상지구의 경우, 토지보상 지연과 사업승인 절차 지체로 집행률이 50%에 불과했고, 초지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은 출자동의안이 상임위에서 세 차례 제동되면서 연내 착공이 무산됐다.
도시재생사업에서도 와동 생활SOC 복합센터 조성 공사가 설계변경 및 부지 매입 지연으로 인해 연말 기준 사업비 42억원이 불용 처리됐다.
의회 회의록에서 한 의원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시작 4년이 지나도록 눈에 띄는 성과가 없다. 주민설명회와 용역에 예산만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 공급성과 및 공공성 점검
2024년 말 기준 공급 실적은 계획 대비 현저히 낮았다. 올 1분기 기준 장상지구의 경우, 계획 6500세대 중 실제 착공 세대는 1200세대(18%)에 불과했고, 신길2지구는 4200세대 중 950세대(23%), 초지역세권 복합개발은 사업 승인 자체가 지연돼 공급 실적이 ‘0’이었다.
공공임대 비중도 목표(30%)에 미달했다. 장상지구는 전체 공급의 22%, 신길2지구는 18%에 그쳤으며, 도시재생사업에서도 공공임대 전환 실적은 120세대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공공택지개발의 공공성 목표가 선언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를 종합하면 공사는 ▲계획 대비 공급 실적 격차가 구조적으로 고착화 ▲착공 지연 → 공급 지연 → 수익 및 공공성과 미달이라는 ‘지체 악순환 구조’가 반복 중이며 ▲도시재생사업은 설계·협의·보상 단계에서 병목이 발생, 실제 물리적 성과가 매우 더디고 ▲공공임대 비율 미달은 사업 공공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향후 국토부 및 경기도 공공택지 평가에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한 국토개발 전문가는 “택지개발은 초기 보상과 인허가에서의 지연이 공급 실적의 70%를 결정한다”며 “사업 마일스톤을 정기 공개하고, 지연 시 자동 경고·보정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도시재생 전문가 또한 “공공임대 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업은 국비 매칭이 축소될 수 있다”며 “공공성 지표를 명확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간단 요약
• 2024년 안산도시공사의 택지개발·도시재생 사업 집행률은 각각 58.7%, 64.3%로, 계획 대비 공급성과가 크게 미달했다.
• 착공 지연·공공임대 비중 미달 등 구조적 병목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으며, 초지역세권 개발은 공급 실적 ‘0’.
• 마일스톤 공개, 공공성 지표 강화, 지연 트리거 제도 도입이 공급 정책 실효성을 좌우할 전망이다.
■ 자료 출처
• 안산도시공사 예산공시, 결산서
• 안산시의회 회의록
• 도시재생 추진계획, 공급현황 보고
• KIS공시 및 신용평가서
[저작권자ⓒ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