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인도 첸나이 공장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노조 탄압과 저임금, 복리후생 등 논란에 파업이 반복되는 탓이다.
21일 인도 일간지 힌두스탄 타임스에 따르면 첸나이 인근 스리페룸부두르 소재 공장 노동조합원 500여명은 지난달 정직된 직원 3명의 복직을 요구하며 이달 5일부터 보름째 파업을 벌이고 있다.
결국 삼성전자 인도법인은 20일 “근로자들이 운영을 방해한다”고 주장하며 타밀나두 주정부에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위가 확대되자 삼성전자는 ’불법 행위에 대한 무관용 정책‘을 재확인하고 당국에 근로자 안전 보장과 함께 규율을 유지해 사업 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번 시위는 지난달 노동조합원 300명이 회사 측에 요구사항 관철을 위해 시위하다 이를 빌미로 3명이 정직되며 시작됐다.
삼성 “노동자 불법 행위 무관용”
삼성은 시위에 대해 “근로자들이 불법적으로 사업 운영과 평화를 방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모든 근로자를 위한 안전하고 안정적인 직장을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직장에서 산업 안정과 평화를 방해하는 근로자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절대 관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은 또한 이를 위반 하는 근로자들은 적법절차를 거쳐 징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위 이유는?
조합원들은 삼성이 노조를 탄압한다고 주장한다.
작년에도 노동자들은 임금 개정을 요구하며 한달 이상 파업을 벌였지만, 주 정부의 개입으로 중단된 바 있다.
당시 노동자들은 삼성 측에 임금인상 요구와 함께 자신들의 노조를 인정하라며 작년 9월 초 37일간 파업을 벌였다. 총근로자 1800명 중 1000여명이 참여한 대규모 파업이었다.
이는 삼성전자의 무노조 방침에 기인한다. 삼성전자는 인도 노동조합(SIWU)을 노조로 인정하지 않고 파업을 불법으로 단정했다.
특히 삼성전자가 사내 어용노조인 ‘근로자 위원회(Workmen’s committee)’를 내세워 노동자들을 회유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타밀나두 정부 또한 삼성전자의 손을 들며 그해 10월 7일 노동자들에게 파업을 풀고 복귀할 것을 명령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노조원 100여명을 체포하는 등 노동자들을 탄압했다.
하지만 노동자들은 더욱 강력히 투쟁했다. 노동자 연대 투쟁이 조직화하자 결국 주정부는 한발 물러섰고 삼성전자 역시 이들과 타협에 나섰다.
그에 앞서 삼성전자는 ‘조합 설립 신청 후 45일 안에 조합을 인정해 줘야 한다’는 인도 현지법을 어기고 90일이 넘도록 조합 인정을 거부했다.
또 현지법상 파업 시작 14일 전에 사업주에게 파업을 예고하면 합법성을 인정받는다는 조항이 엄연히 있지만 삼성전자는 파업 3주 전 이를 알린 조합의 합법적인 파업을 ‘불법’이라며 탄압하고 ‘공장 철수’라는 카드로 주정부를 압박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이런 시도는 모두 무산됐다. 노조는 임금 인상, 의료 보험, 복리후생 등 노동자들의 핵심 요구 사항 관철과 파업 노동자들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을 것 등을 약속받은 후 파업을 종료했다.
[저작권자ⓒ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